반응형
2025년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사업 총정리!
서울시는 근로 취약계층이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입원하거나 건강검진을 받을 경우 소득 공백을 보전해주는 **'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사업'**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2025년부터 지원 금액이 확대되고 대상도 더욱 넓어졌습니다.
✅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이란?
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은 유급휴가가 보장되지 않는 노동자가 입원 또는 건강검진을 받을 때 발생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입니다. 특히, 일용직, 이동 노동자, 프리랜서, 가사관리사, 방문 교사 등 노동 취약계층을 위한 생계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.
📌 2025년 주요 변경 사항
- 지원금 상향: 기존 91,480원에서 94,230원으로 증가
- 최대 지원일 확대: 연간 최대 14일 지원 (최대 1,319,220원)
- 우선 지원 대상 확대: 배달·택배 기사뿐 아니라 가사·청소·돌봄 노동자, 방문 교사도 포함
- 총 예산 증가: 전년 대비 17% 증가한 46억 2,800만 원 규모 운영
🏷️ 지원 대상 및 조건
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🔹 기본 요건
- 서울시 거주자: 입원, 외래진료 또는 건강검진일 기준 30일 전부터 지급 완료일까지 서울시에 거주해야 함
-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: 신청일 기준 직장가입자는 제외
- 근로 또는 사업 소득자:
- 근로자는 최근 90일 중 24일 이상 근무해야 함
- 사업자는 최근 90일 중 45일 이상 사업을 유지해야 함
🔹 소득 및 재산 기준
-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- 가구 재산이 3억 5천만 원 이하
❌ 지원 제외 대상
- 입원 및 검진 월에 생계급여·실업급여·산재보험급여를 수급한 경우
- 직장가입자 (단, 지역가입자로 변경 후 신청 가능)
💰 지원 금액 및 기간
- 입원 지원: 1일 94,230원, 최대 13일 (입원 연계 외래진료 포함)
- 일반 건강검진 지원: 1일 94,230원, 최대 1일
- 총 지원 가능 금액: 연간 최대 1,319,220원
🔹 입원 연계 외래진료란?
- 입원 전후 90일 이내에 동일한 질병으로 받은 외래 진료

📝 신청 방법
🔹 신청 기한
- 퇴원일 또는 검진일로부터 180일 이내 신청 가능
🔹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홈페이지에서 신청
- 방문 신청: 거주지 관할 동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 방문 신청
🔹 필요 서류
- 입원 및 진료 증빙: 입·퇴원확인서, 진단서 등
- 근로·사업 소득 증빙: 근로계약서, 사업자등록증 등
- 소득 및 재산 증빙: 소득금액증명원, 재산세 과세증명서 등
📊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효과
- 2024년 5,333명 지원 (전년 대비 442명 증가)
- 연령별 수혜자: 40~60대가 73% 차지 (60대 28%, 50대 25%, 40대 20%)
- 가구 유형별: **1~2인 가구 비율 74%**로 가장 높음
📞 문의처
자세한 사항은 다산콜센터(☎ 120) 또는 관할 보건소·주민센터에서 확인하세요.
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을 통해 건강과 생계를 동시에 챙기세요! 😊
※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은 받을 수 없으나 생활이 갑자기 어려워졌을 땐?!
->서울형 긴급복지를 신청해보세요~!
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(2025년)-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
서울시는 위기 상황에 처한 저소득 가구를 위해 ‘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’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따라 지원 대상이 확대되고, 지원금도 증가하여 더욱 촘
yeninfo.co.kr
반응형